본문 바로가기
타입스크립트

추론 타입, 명시 타입

by ho-bolt 2022. 6. 21.

😀추론 타입

  let say="hello"
  const age=30
   let b =false

타입스크립트도 자바스크립트와 똑같이 선언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값의 타입을 유추하여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을 정해준다.

따라서 변수값을 재할당하는 데 기존에 선언했던 값의 타입과 다르다면 에러를 던져준다.

let say="hello"
  say=30

//Type 'number' is not assignable to type 'string'.

이것이 자바스크립트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자바스크립트는 타입이 달라도 재할당 했을 때 문제없이 값이 바뀐다.

😏명시 타입

let say : string="hello"
let b : boolean =true

이렇게 값의 타입을 콜론 뒤에 작성해주는 게 명시적으로 타입을 보여주면서 선언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렇게 했을 경우 한 눈에 값의 타입을 알 수 있지만 키보드 작성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고 복잡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위의 추론 타입으로 작성하는 게 더 가독성이 좋다.

728x90

'타입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ias 타입  (0) 2022.06.21
Optional type  (0) 2022.06.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