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amCenter

데이터의 효율적은 연계관리를 위한 Teamcenter가 필요한 사례들

by ho-bolt 2022. 8. 24.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제품의 기획, 설계, 제조, 출시, 유지 보수, 서비스 및 폐기까지의 제품 전 주기의 모든 과정에서 통합된 제품 정보를 중심으로 일관성 있는 엔지니어링 및 관리활동을 하는 방법

PLM이 적용되는 예시 상황

  1. 마우스 회사
  • 마우스를 만들기 위해 만든 기획 자료, 설계 데이터, 마케팅 자료 등 에 대한 데이터 관리
  • 피드백 반영한 데이터 관리
  • 이 데이터를 반영한 프로세스 관리 및 단종 처리
    => 이 모든 걸 PLM이라 한다.

여기서 PLM이 필요한 이유

간접업무 영역을 전산화하고 Process화 함으로써 간접 업무의 비생산적이며 비효율적인 업무를 줄이고 생산적인 업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이슈

실제상황 예시

1. 이번 계약 건으로 최신 A라인 참조 도면을 전달해야 하는데 어떤 도면이 최신이지?

  • 기술 문서의 최신을 확인 불가능
  • 변경 전/후 문서를 찾아서 서로 비교하기 어려움
  • 필요한 자료를 찾기가 어려움
  • 이슈로 인한 변경 시 근거 확보의 미흡과 기록의 부재
  • 문제 재발 가능성

따라서 명확한 정보의 이력관리 가 필요함

  • 모든 문서 및 데이터가 PLM에서 관리되므로 필요 즉시 조회 및 비교하여 자료에 대한 신뢰성 확보
  • 제품관련 문서나 자료가 프로젝트와 연계되어 관리
  • 변경 근거 확보와 일관된 타당성 검토과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명확히 하고 유관부서 자동통보

2. 이전에 A제품 성능실험을 한 결과를 누가 가지고 있지?

  • 개인별 PC에 보관되는 데이터
  • 공용장비에 아무나 수정할 수 있는 상태로 방치
  • 동일한 작업/테스트의 반복
  • 기술/지식 보유 인력의 퇴사가 회사 기술력의 누출

따라서 안전한 정보의 관리

  • PLM 서버에 계층화 된 구조로 데이터와 기술 문서 관리
  • 허가된 사람만 접근할 수 있는 권한통제
  •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자료 공유
  • 지식과 자료의 축적 및 구조화로 직원의 기술수준을 상향 평준화

3. 나 신입사원인데 이번 B제품 프로젝트에서 문서생성 어케 하지?
=> 업무 표준화가 정해지 있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

  • 초기 계획 수립시 참고자료 부족
  • 제품개발 단계별 커뮤니케이션 이슈 및 부서 간 정보전달 오류
  • 절차가 지켜지지 않고 영향 검토 없이 스펙이 변경되어 문제 발생하거나 동일 이슈 재발생

따라서 업무 절차의 표준화

  • PLM에서 NPD 프로세스를 통한 정보요청과 공유 가능
  • Template를 활용한 Data 표준화 및 자산화
  • 표준화된 원료/제품 정보의 시스템 관리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개발원가 절감
  • 업무 프로세스가 시프템화 되고, PLM에서 검토, 승인 완료

4. 우리회사 과제 진행 현황 보고서는? 

  • 회의나 보고를 위한 자료 추가 작성
  • 이슈 발생 시 관련자 공유 및 진행상황 파악이 어려움
  • 각 업무별 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여 추가 작업 필요

따라서 업무 진행의 가시화필요

  • PLM의 Dashboard를 통한 전체적 진행단계 및 상태, 이슈 파악
  • 이슈 발생 시 상세원인까지의 Dril-down으로 구체적 원인 파악
  • 별도의 회의 자료 작성 불필요
  • 현업 고유의 업무만으로 추가 작업 불필요

참고문헌 : https://www.youtube.com/watch?v=EGM3iq5aOLo&t=851s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