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SP

JSP 페이지

by ho-bolt 2021. 9. 29.

JSP =JSP 기술 중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때 작성하는 코드 

 

HTML 문서 사이에 JSP코드가 삽입되는 형태 

 

요청 -> JSP페이지(url 따라서 컨테이너가 jsp 찾음 ) ->서블릿으로 소스 코드 변환 -> 컴파일 

-> 서블릿 클래스 파일 -> 인스턴스화(메모리에 올라옴) -> 서블릿 객체(Thread가동해서 응답함) -> 초기화 -> 서블릿

 

 

 

JSP페이지 구성요소 

 

scripting요소 이해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 %> => 선언부 : 멤버 변수, 멤버 메소드 

<%@page =>지시자 

langugage=>자바로 되어 있다.

 contentType="text/html;=>html로 되어있다.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 메타정보를 컨테이너에게 제공해서 서블릿으로 변환할 때 사용된다. 

 

<%=%> > 값을 출력하는 표현식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directive요소 이해 

 

=> 웹 컨테이너가 jsp페이지를 서블릿 클래스로 변환할 때 필요한 여러가지 정보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법이다. 

<%@page %> : java, 인코딩, import 등은 이 지시자를 통해 삽입한다. 

 

<%@include%>: jsp페이지 안에 다른 jsp페이지를 포함시킬 때 사용 

 

<%@taglib%> : 자바가 아닌 형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내장 객체 이해 

선언 및 초기화 되지 않아도 사용이 되는 변수 

 

웹 컨테이너가 jsp페이지를 서블릿 클래스로 변환시킬 때 자동으로 선언해준다.

 

내장 객체 목록  

 

 

home.jgp
obj.jsp

이렇게 response,request.를 따로 선언하지 않고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uid에 123을 입력한다면 hello 123이 출력된다. 

728x90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okie 처리 기술  (0) 2021.10.04
JSP 라이프 사이클  (0) 2021.09.29
HTTP  (0) 2021.09.28
Servlet  (0) 2021.09.27
웹 프로그래밍 이해  (0) 2021.09.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