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SP

JSP 표준 태그 액션

by ho-bolt 2021. 10. 8.

액션의 형태 

표준 액션 

<jsp : include page="a.jsp">

 

 

커스텀 액션

<c:set var="age" value="26">

 

1. xml기술을 이용해 jsp문법을 확장할 수 있다. 

2. 표쥰 구격으로 바로 사용이 가능한 것은 표준 액션 

3. 커스텀 액션은 밸도의 라이브러리 설치해야한다.

 

 

페이지 모듈화 

페이지 안에 다른 페이지 삽입 

🚩jsp페이지가 실행될 때 동적으로 웹 자원을 읽음 

(페이지가 만들얼지고 삽입되는 형태) ==따라서 서블릿 입장에서는 각자 따로 이루어져있음

밑의 그림을 예로 들면

주황색 웹이랑 검정색 웹이 각자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있어 2개의 서블릿으로

되어있다. 

<jsp : include page="a.jsp"/>

 

이렇게 하나의 웹을 쪼개는 것을 모듈화라고 하고 이것을 include로 한다.

 

 

🚩jsp 페이지가 서블릿 클래스로 변환될 때(이미 코드가 들어와있음)  정적으로 해당 웹 자원을 읽어서 서블릿 클래스

일부로 만든다. 

반면 지시자 include는 1개의 서블릿이다.

<% @include file="b.jsp">

 

페이지 제어권의 이동

🚩JSP 페이지를 이동하다 다른 JSP페이지로 제어권 넘김

<jsp : forward page="..c.jsp"/>

 

ex) dispatcher

 

 

include 예시) 

total.jsp
content.jsp
footer.jsp
header.jsp

total.jsp에 include를 넣어 헤더, 컨텐트, 풋터 세 가지의 jsp파일을 만들었다. 이 상태에서 total.jsp를 실행하면 

이렇게 나뉘어져서 만들어진다. 

total2.jsp

지시자로 적으면 이렇게 적는다. 출력되는 것은 total.jsp랑 똑같지만 위에선 서블릿이 4개이고 이거는 서블릿이 1개인 차이점이 있다. 

 

 

RequestDispatcher로 include 하는 방법

total3.jsp

이렇게 적으면 include 한 것이 가운데에 나올 것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이렇게 출력이 된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맞게 출력하기 위해서는

out.flush()를 적어야지 현재 위치에서 출력이 실행된다. 그러나 인위적이라 가금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728x90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TL  (0) 2021.10.19
jsp useBean  (0) 2021.10.18
tablib 생성  (0) 2021.10.08
Expression 언어  (0) 2021.10.07
Error Exception 처리 방법  (0) 2021.10.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