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웹 브라우저에 요청하고 데이터 전송받기
보통 <form method="post" action="" ></form>이렇게 쓴다. 특히 로그인할 때 사용한다. 아이디나 비번을 요청하고 받을 때 사용한다. 여기서 action은 누구한테 데이터를 전송할 지 작성하는 것이다.
POST의 경우 body가 있는데 HTTP에서 헤더와 바디가 있다면, 바디를 타고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으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한다.
GET의 경우 HTTP의 헤더를 타고 이동하고 바디가 없다. 따라서 정보가 그대로 노출된다.
응답코드
404 NOT FOUND : 문서를 찾을 수 없다. 서버가 요청한 파일이나 스크립트를 차지 못함
405 METHOD NOT ALLOWED : 메서드 허용 안됨, 요청 내용에 명시된 메서드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자원의 이용이 허용되지 않는다.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 내부 오류
🔥코드로 서블릿 데이터 요청 확인해보기
index.jsp에 form태그로 get방식에 Let02/h 서블릿에다가 전달
doGet을 보면 response.getWriter.append() .append(request.getParameter("uid")로 바꾸었다. 즉
form 태그에서 name이 uid인 것의 값이 넘어온 것이다.
form 태그에 123을 입력하고 전송했더니 이렇게 데이터가 전달됐다.
즉 메커니즘을 보면 jsp파일에서 form태그에 action으로 경로를 지정해주고 method로 전달 방식을 정해주면 서블릿이 그 데이터를 받고 응답을 해주는 매커니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