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소유권
ho-bolt
2021. 10. 17. 17:30
리눅스 파일 구조
구조
drwxr-x--- 2 root root 4096 Dec 19 12:30 aa
파일종류 퍼미션 하드링크수 소유자 그룹소유자 크기 마지막 변경일자 파일명
퍼미션
구분 | 파일 | 디렉토리 |
r | 읽기 | 파일 목록보기 |
w | 쓰기(수정) | 파일 생성(삭제) |
x | 실행 | 들어가기 |
1)rwx 2)rwx 3) rwx
1) user 2) group 3) other
표기 (8진수) 퍼미션은 각 문자의 합으로 표현!!
r: 4
w: 2x:1ex) rwxr-xr-x: 7(4+2+1)5(4+1)5(4+1)rwxr--r--: 744
chmod (퍼미션 수정 명령) chmod [옵션] [퍼미션] [파일]
※ chmod 명령어는 root나 그 해당 소유자만 사용이 가능하다
chmod -R 옵션을 주면 해당 모든 디렉터리의 권한을 바꿀 수 있다.
※ .==숨김파일
현재 user1_file01.txt가 있는데 퍼미션을 수정하려면
chmod 000 user1_file01.txt. 를 넣어주면 이 파일의 모든 권한이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읽으려고 할 때 거부가 된다.
만약 읽기 권한만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r권한이 추가되었다.
이렇게 읽혀지는 걸 볼 수 있다.
쓰기권한도 똑같이 하면 된다.
chmod 숫자말고 문자로 하는 법
u (user) | +(추가) |
g(group) | - (삭제) |
o (other) | =(변경하지 않음) 영구적으로 지정 |
a(all) |
ex) chmod o-r /tmp/user1_folder==일반 사용자에서 r(읽기권한을 삭제한다)
mv 파일 옮기기
mv ./(현재폴더) [옮길 파일] /[ 옮길 폴더 ]
user1_file01.txt.파일을 user1_folder로 옮겨진 것을 볼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