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함수를 이용한다면 알아서 정렬을 해준다.
=> 1 2 3 4 5 6 7 8 9 10 이 출력된다.
sort( )안에는 정렬하려는 배열의 메모리 주소값을 넣어준다. 따라서 a 는 첫 번째 원소의 메모리주소, a+10은 a 배열의
마지막 원소의 주소까지 정렬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내가 함수를 만들어서 정렬을 바꿀 수도 있다.
만약 오름차순으로 한다면 compare 함수의 return a<b라고 하면 된다. 위의 주석의 설명은 a<b에 대한 설명이다.
하지만 a>b의 경우 a 즉 앞에 오는 숫자가 올 때 true값을 반환하기 때문에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 10 9 8 7 6 5 4 3 2 1
데이터 묶어서 정렬하는 방법
Student 클래스에 이름과 점수가 있고
operator 함수는 점수가 작을 경우 true값을 반환하게 설정하여 즉 점수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한다.
728x90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수 정렬 (Counting Sort) (0) | 2021.11.09 |
---|---|
병합 정렬(Merge Sort) (0) | 2021.11.01 |
퀵 정렬 (0) | 2021.10.30 |
삽입정렬 (0) | 2021.10.30 |
버블정렬 (0) | 2021.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