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ip install pygame 으로 pygame 을 다운 받고 import 해준다.
2. 17줄부터 19까지는 스크린을 생성하는 것
: pygame.init()는 pygame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쓰는 것
: pygame.display.set_mode()로 스크린의 사이즈를 정해준다. 단 중요한 것은 () 튜플 형태로 넣어줘야 한다.
: pygame.display.set_caption()은 제목을 달아주는 것
=> pygame.display.flip()으로 실행시켜준다.
=> 단 이 flip()으로 실행시키면 시작됐다가 바로 꺼진다. 그래서 반복문을 통해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3. player 생성
: 필요한 이미지를 정해서 player.image.load('이미지')로 player를 만든다.
: 하지만 이미지의 크기가 맞지 않을 수도 있으니, pygame.transform.scale(player, (가로,세로))로 크기를 정해준다.
: recPlayer.centerx ,recPlayer.centery 를 통해서 시작할 때 위치할 위치를 정해준다.
그 다음 실행했을 때 설정한 위치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함수를 만들어준다.
그것이 4번과 8번 줄에 있는 함수다 SCREEN.blit(변수, 좌표값)
유성과 로켓을 각각 만들어준다.
이렇게 기본적인 player와 스크린 세팅을 마쳤다.
출처 : codingnow.com
728x90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유성 피하기 게임( 유성 움직이기) (0) | 2021.12.07 |
---|---|
2. 유성 피하기 게임 (키보드 입력받기) (0) | 2021.12.06 |
키보드 입력다뤄보기 , 갤러그 게임 만들기 (0) | 2021.11.29 |
if문과 함수를 만들어 가위바위보 만들어보기 (0) | 2021.11.29 |
리스트 접근 방법보기 (0) | 2021.11.29 |
댓글